정부가 추진 중인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시행 일주일 만에 대구경북에서만 7,481억 원이 풀리며 지역 자영업과 골목상권에 숨통을 틔우고 있다.
행정안전부가 27일 발표한 신청 현황에 따르면 대구는 전체 지급대상자 233만5,175명 중 79.5%인 185만7,600명이 신청을 완료, 총 3,677억 원이 지급됐다. 경북은 전체 250만1,348명 중 75.3%인 188만3,376명이 신청, 3,804억 원을 수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국 평균 신청률(78.4%)과 비교해도 대구는 소폭 웃도는 수준이며, 경북도 큰 차이 없이 높은 신청률을 기록했다.
특히 대구는 신청 초기부터 온라인 접속 폭주가 이어졌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와 연계한 오프라인 접수창구도 분주하게 가동됐다. 대구시 관계자는 “기초생활수급자와 고령층 대상자 안내를 별도로 강화한 것이 조기 정착에 도움이 됐다”고 설명했다.
지급 수단별로는 전국과 마찬가지로 신용·체크카드가 전체 신청의 75% 이상을 차지했으며, 선불카드나 지류 상품권보다 사용 편의성과 속도가 빠른 방식에 수요가 집중됐다.
이번 소비쿠폰은 지난 7월 5일 정부 발표 후 불과 16일 만에 접수를 개시했으며, 디지털 신청 시스템과 유튜브·SNS 기반 홍보가 조기 신청률 상승을 이끌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정부는 지난 26일부터 온라인 요일제를 해제했고, 오프라인도 28일부터 요일제 폐지, 오는 9월 12일까지 누구나 신청 가능하다.
다만 전문가들은 “빠른 지급 속도와는 별개로, 실질 소비 진작 효과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지역 경제계는 “대구경북은 자영업·소상공인 비중이 전국 평균보다 높기 때문에 소비쿠폰의 매출 환류 효과가 더 중요하다”며 “단순 소비가 아닌 지역경제 선순환 구조로 이어질 수 있도록 사용처 유도와 후속 정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행정안전부는 8월 중 지역별 소비 사용현황 통계를 분석해 후속 대책 마련에 나설 예정이며, 대구시는 쿠폰 사용처 확대와 소상공인 홍보물 제작 등 추가 대책을 검토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