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부터 대구경북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이 이차전지의 하락 영향으로 100조원 이상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포스코 그룹주의 시총이 연속 감소하며 대구경북 지역의 시총감소를 주도했다. 한국거래소 대구사무소에 따르면 지난 10월 대구·경북 상장법인(118사)의 시가총액은 전월대비 20.60%(25조1천192억원) 감소한 96조8천381억원으로 집계됐다. 철강금속, 전기전자, 전문기술 및 서비스 업종 등의 하락 영향이 컸지만 이차전지의 하락영향이 강했다. 10월 전체 상장법인의 시가총액 대비 대구경북 상장법인의 시가총액비중은 4.45%로 전월에 비해 0.71%p 감소했다. 포스코그룹주(POSCO홀딩스, 포스코퓨처엠, 포스코스틸리온, 포스코DX, 포스코엠텍)의 시총이 연속 감소하며, 대구경북지역의 시총 감소를 주도했다. 포스코그룹주는 지난 7월 연중최고치인 102조3천778억원에서 8월 93조9천730억원(△8.20%), 9월 82조9천198억원(△11.76%), 10월에는 61조7천444억원(△25.54%) 지속 감소했다. 10월 대구경북 유가증권시장 상장법인(42사)의 시가총액은 전월대비 23.42%(21조7천102억원) 감소한 71조63억원으로 조사됐다.
지난 10월 대구경북 상장법인 가운데 유가증권시장에서 대성에너지, 코스닥시장에서는 흥구석유의 시가총액 상승이 두드러졌다. 시총상승에 따라 대성에너지와 흥구석유는 주가 상승률 또한 1위를 기록했다. 시가총액은 유가증권시장은 전기가스, 전기전자, 철강금속, 화학, 비금속광물 업종順으로 상승했고 코스닥시장은 유통업, 운수장비, 화학, IT부품 업종順으로 상승했다. 10월 대구경북 유가증권시장 상장법인의 시장별 시가총액 증가액 상위 종목은 대성에너지가 9월 2천38억원에서 10월 2천868억원으로 831억원 40.76%로 가장 크게 올랐다. 이어 한화시스템이 2조3천180억원에서 2조3천993억원으로 812억원 3.50%, TCC스틸이 1조3천15억원에서 1조3천631억원으로 616억원 4.73%, 코오롱플라스틱이 2천812억원에서 2천915억원으로 103억원 3.65% 상승했다. 코스닥시장에서는 흥구석유가 1천94억원에서 1천931억원으로 837억원 76.54%로 가장 크게 증가했고 이어 에코플라스텍이 1천486억원에서 1천749억원으로 263억원 17.70% 증가했다. 다음으로 전진바이오팜이 391억원에서 646억원으로 254억원 64.95% 증가했고 한국컴퓨터
공매도가 전면 금지되면서 이차전지 종목들이 일제히 상승장세에 들어섰다. 특히 에코프로(086520)·에코프로비엠(247540)은 6일 동반 상한가를 쳤다. 이날 주식시장에서는 이차전지 대표종목인 에코프로·에코프로비엠, POSCO홀딩스(005490), 포스코퓨처엠(003670), 엘엔에프(066970 ) 등이 강한 상승세를 나타냈다. 금융위원회는 6일부터 내년 6월 30일까지 유가증권시장, 코스닥시장 및 코넥스시장 상장 주권 등 국내 전체 증시에 대해 공매도를 금지하기로 의결했다. 공매도 금지는 증시 역사상 네 번째다. 이번 조치로 공매도 잔고 비중이 높은 종목들은 숏 커버링으로 인한 주가 상승 기대감이 커졌다. 6일 오전 11시 49분 코스닥 시장의 에코프로는 직전거래일보다 19만1000원(29.98%) 상승한 82만8000원에 거래됐다. 에코프로 주가가 장중 80만원선을 넘어선 것은 지난달 19일 이후 12거래일만이다. 에코프로비엠도 전 거래일 대비 6만9000원(30%) 오른 29만9000원에 거래되며 상한가를 기록했다. 에코프로·에코프로비엠의 상한가는 공매도 잔고 비중이 높은 종목인 만큼 공매도 전면 금지로 인한 주가 상승 기대감이 커진 여파로 풀이되고
파이낸셜대구경북 김유신 기자 | 대구 동구청은 6일 동구청 대회의실에서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하는 통합 사회 조성을 위해 간부급 공무원을 대상으로 2023년 장애 인식개선 교육을 실시했다. 장애 인식개선 교육은 장애인복지법에 따른 법정의무교육으로 그 동안 코로나19로 온라인 교육으로만 진행되어왔으나 올해는 대면 교육으로 진행했다. 이날 장애 인식개선 교육 전문강사로 초빙된 대구광역시장애인권익 옹호기관 김인아 관장은 장애와 관련한 올바른 인권의식 확립, 장애 인권 감수성 고취, 지역사회 장애인 인권침해 등 사례 중심의 강의를 진행했다. 윤석준 동구청장은 “장애 인식개선 교육을 통해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차별을 제거하는 계기가 되고, 다름에 대한 존중과 포용의 문화가 더욱 널리 퍼지길 바란다” 고 말했다 [뉴스출처 : 대구시 동구]
대구시의 수도권으로 청년인구 유출은 10명 6명이 직업때문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에서 수도권 전출 청년 비중이 대구 계속거주 청년보다 무려 15.6%p나 높았다. 저출산 및 인구유출로 지역의 인구감소가 심화되고 지역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는 가운데, 지역 청년 인구의 수도권 유출을 방지할 특단의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동북지방통계청이 지역 청년의 수도권 전출 현황 및 생활상을 분석한 결과 2021년 대구의 19~34세 청년인구는 2016년 대비 7.1% 감소한 46만5천명으로 집계됐다. 특히 대구시의 청년인구 비중(19.8%)은 특‧광역시 전체(21.8%)보다 2.0%p 낮았다. ‘ 2021년 타 시도로 순유출된 청년인구는 1만 1천명이며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이 81.6%를 차지했다. 수도권으로 전출 사유는 직업(60.3%), 교육(17.7%), 가족(10.6%) 순이었다. 2016년 대구에 거주한 20대 청년 중 5년 후(2021년) 대구에 계속 거주한 청년과 수도권으로 전출한 청년의 생활상을 비교한 결과, 2021년 취업자 비중은 수도권 전출 청년(91.4%)이 대구 계속거주 청년(83.2%)보다 8.2%p 높았다. 상시근로자
파이낸셜대구경북 김유신 기자 | 대구광역시는 영남권 청소년들의 진로직업체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국립 청소년진로직업체험수련원 건립 예정지에 대해 10월 30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 공고하고 향후 5년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했다. 이번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 지역은 괴전동 2번지 일원 104,006㎡로써, 영남권 청소년들의 진로직업체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국립 청소년진로직업체험수련원 건립의 안정적인 추진과 개발 예정지의 투기적인 거래 및 지가의 급격한 상승 예방을 위해 ‘부동산 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 제10조에 따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했다. 허가구역 내 용도지역별 토지의 거래 면적이 주거지역 60㎡, 상업지역 150㎡, 공업지역 150㎡, 녹지지역은 200㎡를 초과하는 경우 거래 당사자는 매매계약 체결 이전 동구청에 토지거래허가를 먼저 받아야 하며, 허가받은 목적대로 용도별 2 ~ 5년간(농업·축산업·임업·어업용 및 주거용 2년, 개발용 4년, 기타 5년) 이용 의무가 발생한다. 다만 실수요자의 경우는 허가구역 내 토지의 취득은 어렵지 않다. 한편, 토지거래허가구역 발표 이후의 실거래 신
파이낸셜대구경북 김유신 기자 | 대구 수성구 수성미래교육재단과 한국환경공단 대구경북환경본부는 지난 26일 지역 우수 인재 발굴·양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양 기관은 지역 특화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개발, 시설, 장비 및 교육프로그램 상호 활용, 장학금 지원, 교육활동과 연계한 양 기관 홍보 지원 등을 함께 해나가기로 했다. 또한, 한국환경공단 대경본부는 지역 인재 육성을 위한 장학금 2백만원을 전달했다. 황승만 본부장은 “공단이 보유한 환경사업 역량과 인프라를 바탕으로 지역 환경교육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한편, 미래 인재 양성에도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수성미래교육재단 이사장인 김대권 수성구청장은 “지역 교육 발전에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하며, 이번 협약으로 양 기관이 더욱 긴밀히 협력하기를 바란다”고 답했다. [뉴스출처 : 대구시 수성구청]
올해 3분기 전국 무역항의 물동량은 전년동기(3억9천154만 톤)에 비해 3.9% 감소한 3억7천621만 톤으로 조사됐다. 포항항은 작년 3분기 1천210만 톤에서 1.0%(12만 톤) 감소한 1천198만 톤으로 집계됐다. 부산항, 광양항, 울산항 등에 이어 전국 7번째로 물동량이 많았다. 전체 물동량은 감소한 반면 컨테이너 화물 물동량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무역항에서 작년 3분기 713만 TEU(Twenty foot Equivalent Units)를 처리했고 올해는 753만 TEU를 처리해 5.5% 증가했다. 수출입은 431만 TEU(전년동기比 6.0%↑)를 기록했고 환적물량은 318만 TEU(5.7%↑), 연안물량은 4만 TEU를 기록했다. 주요 교역국 중 일본의 수출입 물동량이 4.9% 소폭 감소했고 중국 수출입은 전년동기대비 2.7% 증가해 수출입 물동량이 다소 증가(수입 7.3%↑, 수출 4.7%↑)했다. 특히 중국의 리오프닝(코로나19로 인해 위축됐던 경제활동이 재개되는 현상)의 영향으로 대(對)중국 물량이 증가했다. 비컨테이너 화물은 전년동기대비 7.7% 감소한 2억4천557만 톤으로 나타났다. 울산항, 인천항, 평택당진항 등은 감소했
글로벌 금융위기로 비수도권의 연평균 경제성장률이 반토막 난 것으로 조사됐다. 이로인해 수도권과의 경제성장률 격차가 3배 수준으로 벌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지역별로 특화된 혁신기업의 탄생과 성장, 글로벌 선도기업 유치 등이 활발히 이뤄질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지역내총생산(GRDP)이 위축되고 인구 유출 등으로 소멸 위기에 빠진 지역을 되살리려면 산업 역동성 강화가 필수라는 것이다. 대한상의 지속성장이니셔티브(이하 SGI)가 23일 발표한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산업역동성 비교와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같이 요약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비수도권의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지난 2000~2007년 4.9%에서 2010~2021년 1.9%로 3%p 감소했다. 수도권 연평균 경제성장률이 5.4%에서 3.4%로 2%p 감소한 것과 비교하면 비수도권 경제성장률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더욱 큰 타격을 입었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수도권 지역도 금융위기 이후로 경제성장률과 인구증가율이 낮아졌으나 하락 폭은 비수도권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작아 지역 간 불균형 문제가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SGI는 “신생기업 중 지난 3년간
파이낸셜대구경북 김유신 기자 | 지난 10월 6일 ‘도심융합특구 조성 및 육성에 관한 특별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함에 따라 그동안 근거 규정 미비로 다소 지연됐던 대구형 도심융합특구 조성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대구광역시는 특별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제반 행정절차를 내실 있게 준비해 (구)경북도청 후적지 일원에 미래신성장 산업 복합 인프라를 구축함으로써 대구 미래50년을 책임지는 핵심 산업혁신거점으로 집중 조성하고자 한다. 도심융합특구는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지방 주요 도심에 기업과 인재가 모일 수 있도록 산업․주거․문화 등 우수 복합 인프라를 갖춘 고밀도 혁신공간을 조성하는 사업으로, 문재인 정부에서 시작해 이번 정부의 국정과제로 선정됐다. 특별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도심융합특구 지정절차는 크게 특구 지정, 사업 구체화, 개발 진행의 3단계로 나누어진다. 먼저, 기본계획 수립을 통한 지자체의 지구 지정 신청, 도시개발위원회 심의를 거쳐 국토부 승인으로 도심융합특구로 지정절차가 완료되며, 실시계획 용역 및 사업시행자의 실시계획 신청, 국토부 승인을 통해 도심융합특구 조성사업이 최종 확정되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