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의회, 종합청렴도 최하위 기관 '불명예'

부패 경험률 23.39%...'부당한 업무처리 요구' 22.06%, '계약업체 선정 관여' 16.37%, '심의·의결 개입 압력' 16.18% 높은 비중...의원들 청렴의식 개선 시급

포항시의회와 안동시의회가 국민권익위의 2023년도 청렴 체감도 평가에서 최하등급인 5등급을 받았다. 

 

경북지역 시(市) 단위 10개 기초시의회는 구미시, 경주시, 경산시의회 3등급에 들었을 뿐, 영주시, 문경시, 상주시, 김천시, 영천시의회는 4등급으로 평가되며 의원들의 청렴도 의식 개선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국민권익위원회(이하 국민권익위)는 지난 4일 92개 지방의회(광역의회 17개, 기초 시 의회 75개)의 종합청렴도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국민권익위는 2013년부터 국민 생활과 접점에 있는 지방의회의 청렴 수준을 심층적으로 진단하기 위해 별도의 모형을 개발하고 청렴도를 측정해 왔다. 

 

2023년도 광역‧기초시의회의 종합청렴도는 100점 만점에 68.5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달 28일 국민권익위에서 발표한 행정기관·공직유관단체의 종합청렴도(80.5점)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기관별로는 종합청렴도 1등급은 4개 기관으로, 경북도의회, 강원 동해시의회, 경기 동두천시의회, 전남 광양시의회였다. 반면, 종합청렴도 5등급은 강원특별자치도의회, 경기도의회 등 8개 기관이었다. 

5등급 8개 기관 가운데 포항시의회와 안동시의회가 포함돼 경북도내 기초의회의 청렴도가 바다수준임을 드러냈다. 

 

청렴체감도 영역에서는 경남도의회, 경북도의회, 강원 동해시의회, 경기 동두천시의회, 전남 광양시의회로 5개 기관이 1등급을 받았다. 

 

반면, 5등급 기관은 강원 태백시의회, 경기 고양시의회, 경기 안성시의회, 경북 김천시의회, 경북 영천시의회, 경북 포항시의회, 전북 군산시의회로 7개였다.

 

청렴노력도 영역에서는 6개 기관이 1등급으로, 세종특별자치시의회, 전남도의회, 충남도의회, 경기 구리시의회, 경기 부천시의회, 경기 양주시의회였으며, 5등급 기관은 강원도의회, 경기도의회 등 9개 기관이었다.

 

지역주민, 직무관련공직자, 단체 및 전문가 등이 평가한 부패경험률 평가에서 포항시의회는 김천시의회(29.18%), 영천시의회(23.359%)에 이어 23.39%의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세부항목별로 '부당한 업무처리 요구'가 22.06%로 가장 높았으며 '계약업체 선정 관여' 16.37%, '심의·의결 개입 압력'이 16.18%로 두드러졌다, 

 

이어 미공개 정보요구 7.35%, 인사 관련 금품 등 3.51%, 의정활동 관련 금품 등 2.34%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종합 청렴도 평가에서 포항시의회는 안동시의회와 함께 최하등급인 5등급 기관으로 평가됐다. 

 

청렴체감도 평가에서는 김천시, 영천시의회와 함께 5등급에 들었으며 청렴노력도 평가에서는 경주시, 문경시, 상주시와 함께 4등급을 기록했다. 

 

이같은 평가에 지역주민들은 "그간 갖가지 비위 의혹에 연루돼 구설수에 올랐던 포항시의원들의 민낯이 그대로 반영된 결과"라며 "시민 위에 군림하려는 의원들의 기본 의식부터 바뀌어야 한다"고 지적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