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병국 포항시의원, 주민동의없는 학산천 교량 변경 강한 지적

포항시의 일방적 목교 설치에 안병국 시의원과 지역주민 강력 반발

포항시가 학산천 생태하천 복원사업 과정에서 주민의 동의없이 일벙적으로 차량 교량을 보행자 전용 목교로 변경한 결정이 지역사회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안병국 포항시의원(국민의힘, 중앙·죽도·양학)은 주민 동의 없는 일방적인 학산천 교량 계획 변경을 강도 높게 비판하며 원상복구를 요구했다.

 

안 의원은 지난 1일 제323회 포항시의회 임시회 5분 발언을 통해 "수십 년간 포항여고와 포항여중 학생들의 통학로이자 지역 차량의 생활 도로로 사용되던 교량이 주민 협의 없이 목교로 변경됐다"고 지적했다.

 

425억 원이 투입된 학산천 복원사업은 도심 하천의 콘크리트를 제거하고 자연 생태계를 복원하는 취지로 시작됐다. 그러나 당초 차량 통행이 가능한 교량으로 설계됐던 포항여고 정문 앞 다리가 공사 과정에서 보행자 전용 목교로 변경되면서 논란이 불거졌다.

 

"이 구간은 특히 통학 시간대에 사설 통학버스와 차량 정체가 반복되는 중요한 도로"라고 안 의원은 설명했다.

 

그는 "문제의 심각성은 이러한 변경 사항이 주민은 물론 시의회에도 사전 공유되지 않았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안 의원에 따르면, 인근 통장들과 주민대표, 학산주공아파트 입주자, 학부모들로부터 긴급한 항의가 접수됐으며, 학생들의 통학 안전 우려, 도로 정체, 우회로 부족, 차량 흐름 단절 등 구체적인 불편이 확인됐다.

 

포항시 관계자는 "일단 회전교차로를 설치해서 사용해 보고, 불편하면 다시 차량 교량을 만들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안 의원은 "행정의 책임 회피이자 무책임한 실험 행정"이라며 "도심 교통과 시민의 일상생활을 대상으로, '먼저 없애보고 불편하면 다시 만들겠다'는 식의 접근은 행정의 기본도 무시한 처사"라고 비판했다.

 

안 의원과 지역 주민들은 △기존처럼 차량 통행이 가능한 교량 재건설 △사전 고지 없이 일방적으로 결정한 행정 절차에 대한 공식 사과 △차량 교량 복원을 위한 구체적인 재설계·예산 확보·공사 일정 공개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 문제는 한 개의 다리를 두고 벌어진 논쟁이 아니라, 주민 동의 없이 일방적으로 계획을 바꾸고, 불편이 발생한 후에야 책임을 회피하려는 행정의 태도에 대한 문제"라며 안 의원은 발언을 마무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