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한동훈 신임 대표가 '국민 눈높이'를 키워드로 당의 체질 개선과 외연 확장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정책위의장 거취 문제가 당면 과제로 부상했다.
한 대표는 취임 이후 '제삼자 추천 채상병특검법'을 여야 대치 국면의 돌파구로 거듭 강조하며, 금융투자소득세 폐지를 공언했다.
이러한 행보는 "정권 교체를 위해 뭉쳤던, 다양한 생각과 철학을 가진" 유권자 연합을 복원하겠다는 구상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당의 스펙트럼을 확대하려는 한 대표의 기조는 2026년 지방선거와 2027년 대선 승리를 위한 전략으로 분석된다.
수도권 연전연패 고리를 끊고 중도층과 청년층을 유입해 당의 지지 기반을 강화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한 대표 측 관계자는 "국민 눈높이에 맞는 생활 밀착형 정책과 전당대회에서 약속한 정치개혁 의제들을 차례로 추진하며 적극적인 외연 확장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정점식 정책위의장의 거취 문제가 쟁점으로 떠올랐다.
일부 친한동훈계 인사들은 완전히 새로운 지도부 구성을 주장하고 있다.
한 친한계 의원은 "변화의 모습을 보여주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 당직 인선"이라고 말했다.
반면 정 의장은 "당헌상으로는 1년 임기가 보장된다"며 사임 요구에 대해 "가정에는 답변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한 대표 측의 정책위의장 교체 의도에는 '한동훈 지도부'의 면모를 일신하고 체제를 공고화하려는 목적도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 최고위원회에서 친한계 인사는 과반에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다.
그러나 일부 현역 의원들 사이에서는 정책위의장 교체에 대한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과 한 대표의 관계 개선 문제와 연결 짓는 시각도 있어, 교체 강행 시 당내 '후폭풍'이 우려된다는 주장이 나온다.
한 대표 측은 "당헌·당규 해석에 따라 모든 당직 인선을 공석 상태에서 검토하고 있다"며 "여러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인선을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책위의장 인선은 서두르지 않고, 이르면 29일 신임 사무총장부터 차례로 발표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