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민이 그린 2045년 경북의 모습, 실현을 위한 첫걸음 떼다

광복 100주년인 2045년, 20년 후 경북의 모습과 비전 선포

 

파이낸셜대구경북 이지원 기자 | 경상북도는 5일 도청 신도시에 있는 안동 스탠포드 호텔에서 2045년 광복 100주년을 준비하는 ‘경상북도 미래 비전 2045’ 선포식을 개최했다.

 

선포식에는 이철우 경상북도지사와 최병준 경북도의회 부의장, 임종식 경상북도교육청 교육감,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 22개 지자체장과 도민이 참석해 경북의 미래 비전을 공유하고, 변화와 도약의 의지를 다졌다.

 

이날 선포식은 앨빈 토플러와 함께 미래학자의 거두로 꼽히는 클레멘트 베졸드 박사의 특별강연과 ‘경상북도 미래비전 2045’의 책임연구원인 서용석 카이스트(KAIST) 교수의 개요 설명, 인공지능(AI) 도지사의 미래에서 온 편지, 2045 미래비전 선포 순으로 진행됐다.

 

경상북도는 경북의 미래 비전으로‘전통과 혁신의 중심, 희망 미래를 여는 경북’을 제시하고, 도민들의 의견을 반영해 도출된 다양성, 전통성, 유연성을 3대 핵심 가치로 선언했다.

 

도는 이러한 가치를 기반으로 지역 특성에 맞춰 변화하는 미래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 전략을 추진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미국의 ‘대안 미래 연구소(Institute for Alternative Futures)’ 창립자 중 한 명인 미래학자 베졸드 박사는 강연에서 “진정한 비전은 이미 존재하는 것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아직 존재하지 않는 것을 창조하겠다는 대담한 약속”이라며, “경상북도는 가치 혁명으로 복지, 지속 가능성, 사회적 형평성을 높이고, 기술 혁명으로 똑똑하고 탄력적인 시스템을 가져올 것이며, 공간 혁명으로 인간 중심의 네트워크 공동체를 만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미래를 향한 걸음은 완벽하지 않을 수 있지만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경북은 앞으로 나아가게 될 것”이며, 특히 “경북도는 ‘APEC 2025’를 계기로 세계 문제 해결의 선도적 모델을 만들 기회를 얻고 있다”며, 지방 차원의 미래 예측 포럼을 준비할 것을 제안했다.

 

서용석 카이스트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교수는 ‘경상북도 미래비전 2045’가 앞으로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 변화, 글로벌 경제위기로 인한 지역 제조업 위기, 글로벌 정세에 따른 농어업 개방,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산업구조 개편, 신기후체제의 환경규제 등 주요 도전 과제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고, 도민과 소통·협력할 중요한 로드맵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서 대형 스크린에 등장한 인공지능(AI) 도지사는 ‘미래에서 온 편지’를 통해 초고속 비행기가 취항한 대구경북 신공항, 첨단과학도시에서 열리는 홀로그램 글로벌 포럼, AI 로봇이 다도를 시연하며 외국 관광객에게 한국 정신문화를 다국어로 설명하는 장면 등을 소개하며, 경북이 가치・기술・공간 혁명을 이루어 갈 미래를 그려냈다.

 

또한, 지금의 세대와 미래 세대가 직접 참여하는‘미래로 쓰는 편지’ 퍼포먼스가 진행됐다. 2045년 경북은 아이들이 꿈꾸는 이상향을 현재 세대와 미래 세대가 함께 이루자는 의미로 아이들이 그린 2045년 그림을 ‘미래함’에 담아 더 나은 경북의 미래를 기원하고, 스크린에 AI를 통해 보다 현실감 있게 구현해 참석자들에게 큰 감동을 주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축사를 통해 “경상북도의 전통적 가치를 되살리는 동시에 미래로 나아가는 ‘미래비전 2045’는 경상북도를 넘어 대한민국의 미래를 밝히는 희망의 등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2045년은 광복 100주년이자, 경북이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 중심으로 우뚝 서는 해가 될 것”이라며, “도민 모두의 꿈과 의지가 모여 완성된 이번 미래 비전을 반드시 실천해 경북을 당당히 세계 무대에 세우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뉴스출처 : 경상북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