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대구경북 김유신 기자 | 대구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는 낙동강의 조류 발생에도 불구하고, 시민들이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안전한 수돗물 생산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본부는 원수 취수 단계부터 조류 유입을 차단하고, 고도정수처리시설 운영과 수질 감시 시스템을 강화해 수돗물 품질 향상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여름철 수온 상승과 일조량 증가로 인한 녹조 발생에 대비해 선제적 비상대응체계를 가동해 시민들에게 안전한 수돗물을 공급하고 있다.
조류 유입 차단을 위한 심층 취수 및 녹조 저감시설 운영
본부는 낙동강 수면 5m 아래에서 심층 취수를 실시해 조류의 영향이 적은 원수를 취수하고 있으며, 이는 수면 대비 97%의 조류 저감효과를 보인다.
또한, 취수구 주변 조류 차단막을 3중으로 강화하고, 수류분사식 녹조 저감시설을 상시 가동해 정수장으로의 조류 유입을 최소화하고 있다.
고도정수처리시설 운영 및 수질감시 시스템 강화
아울러 본부는 체계적인 고도정수처리시설 운영을 통해 안전한 수돗물 생산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다.
특히 낙동강 원수를 취수하는 매곡·문산정수장은 전·후오존 처리 및 입상활성탄 흡착공정을 거쳐 조류 독소와 냄새 물질을 완벽히 제거한다.
조류경보 발령 시에는 정수장 유입 원수와 정수 중 조류독소 및 냄새물질에 대한 수질검사를 법정 검사 횟수보다 한층 더 강화해 주 2회 이상 실시한다.
조류 독소 검사는 법정 6종(마이크로시스틴-LR, YR, RR, LA, LY, LF)에 더해 자체 4종(실린드로스퍼몹신, 아나톡신-a, 노둘라린, 삭시톡신)까지 총 10종에 대해 진행하며, 검사 결과는 대구시 상수도사업본부 홈페이지와 환경부 국가상수도정보시스템에 공개된다.
상수도사업본부 수질연구소는 KOLAS(한국인정기구) 국제공인시험기관으로서, ERA(미국환경자원협회) 국제 숙련도 인증기관에서 2020년부터 2025년까지 6년 연속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되는 등 국제적으로 검증된 전문성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시민들에게 신뢰할 수 있는 수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절기 총트리할로메탄 특별관리로 엄격한 기준의 수돗물 생산
안전한 수돗물 생산을 위해 각 정수장에서는 정수 수질관리 목표를 강화해 운영하고 있다.
소독부산물인 총트리할로메탄의 경우, 먹는 물 수질기준(0.1mg/L이하)보다 엄격한 관리 목표(평상시 0.04mg/L이하, 하절기 0.06mg/L이하)를 설정하고 있다.
특히, 낙동강 계통 정수장은 하절기 매주 모든 정수 처리 공정에 대해 총트리할로메탄 검사를 실시하며, 입상활성탄 역세척 주기 단축 등 공정별 선제 대응을 통해 소독부산물 생성을 최소화한다.
백동현 대구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장은 “대구 수돗물은 고도정수처리시설 운영과 철저한 수질검사를 통해 안전하게 생산되고 있다”며, “시민 건강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언제나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깨끗하고 안전한 수돗물 공급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대구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