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대구경북 기자 | 경주시는 지난 12일 시청 알천홀에서 ‘경주형 마을만들기사업 지침 및 가이드라인’ 설명회를 열고, 2026년부터 새롭게 적용될 농촌재생 정책 방향을 시민들과 공유했다.
이번 설명회는 급격한 고령화, 지속적인 인구감소, 청년층 이탈로 공동체 기반이 빠르게 약화되고 있는 농촌 현실을 함께 진단하고, 앞으로의 마을발전 전략을 주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행정이 지원 체계를 새롭게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시는 그동안 시설 중심‧일회성 중심 사업 방식이 지역 문제 해결에 한계가 있었다고 보고, 마을의 준비도와 역량을 기준으로 ‘예비-실행-자립’ 단계로 구분한 주민주도형 단계별 지원체계를 구축했다.
이러한 정책 변화와 추진 배경을 담아 정비한 ‘경주형 마을만들기 지침’이 이날 처음으로 현장에 공유됐다.
설명회에는 이장과 주민대표, 읍·면·동 담당자 등 100여 명이 참석했으며, 지침 주요 내용, 공모 일정, 추진 시 유의사항 등을 중심으로 사업 전반이 안내됐다.
경주시는 이번 설명회를 시작으로 마을별 사업계획 수립을 지원하고, 2026년 마을만들기 공모 절차를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공모 참여를 위해서는 행복농촌포럼, 행복농촌문화학교 이수가 필수이며, 시는 이에 따라 오는 12월 22일 오후 4시 시청 알천홀에서 ‘농촌현장포럼’을 개최할 예정이다.
백승준 경주시 농림축산해양국장은 “이번 지침은 주민이 직접 마을의 미래를 결정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마련한 것”이라며, “마을마다 준비도를 고려한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경상북도 경주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