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항 영일만산단과 블루밸리국가산단에 위치한 에코프로 계열사들의 환경 문제가 지역 사회의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지역 시민단체들이 기업의 환경 관리 실태와 행정 당국의 대응을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28일, 블루밸리국가산단 원주민대책위원회, 포항한경운동연합을 비롯한 시민단체는 기자회견을 열고 에코프로 그룹의 고농도 폐수 방류와 위험물 저장 창고 건설 문제를 제기했다. 이들은 포항시에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경북도에 따르면, 지난 8월 에코프로머티어리얼즈의 고농도 염 폐수가 생태독성 기준을 초과해 개선명령이 내려졌다.
이는 2021년부터 이어진 에코프로 계열사들의 물환경보전법 위반 사례 중 최근의 사건이다.
에코프로머티어리얼즈는 일일 폐수배출량이 2000㎥ 이상인 1종 사업장으로, 영일만산단의 에코프로 계열사 중 가장 많은 폐수를 배출하고 있다.
2017년 가장 먼저 입주한 이 회사는 생태독성 기준을 2배에서 8배까지 초과하면서도 염 증명을 이유로 직방류를 계속해왔다. 내년 8월까지 유예기간을 받아 가장 늦게 관련 설비를 갖추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환경단체 관계자는 "영일만 산단 배터리 규제자유특구 지정으로 기업들이 고농도 폐수를 장기간 무단 방류하고도 행정처분을 유예받았다"고 지적했다.
위험물 저장 창고 건설 문제도 논란이 되고 있다.
최근 에코프로씨엔지는 포항시 남구 동해면 블루밸리 서로 77(공당리) 블루밸리국가산단 내 원주민 집단 이주지 인근에 유해화학물질 저장 창고 건축허가를 받았다. 이 창고에는 '산화 코발트 리튬 망간 니켈' 등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보관될 예정이다.
블루밸리 국가산단에는 원래 위험물 저장시설 코드가 없었으나, 포항시는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에 근거해 건축허가를 내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주민들은 안전 우려를 제기하며 허가 취소를 요구하고 있다.
시민단체들은 성명을 통해 "포항시는 블루밸리국가산단 에코프로씨엔지의 물류센터 건축허가를 취소하라"고 촉구했다. 또한 "경북도와 포항시는 이차전지산업의 유해성을 연구 조사하고 철저한 예방과 안전대책을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에코프로 측은 현재까지 이 문제에 대해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향후 지역사회와 기업, 행정당국 간의 소통과 협력이 이 사안의 해결에 중요한 열쇠가 될 것으로 보인다. 환경 보호와 산업 발전 사이의 균형을 찾는 것이 포항 지역의 당면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