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이 “8천억 원 규모의 동해안 수소경제 산업벨트 조성 사업을 지원해 경북을 수소산업의 허브로 키우겠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20일 경산시 영남대학교 천마아트센터에서 ‘동북아 첨단 제조혁신 허브, 경북’을 주제로 스물여섯 번째 민생토론회를 개최했다.
이자리에서 윤 대통령은 “경북이 새롭게 도약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산업구조 혁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청도에서 시작된 새마을운동이 한강의 기적을 이뤄낸 사례를 언급하면서 “조국 근대화의 성취를 이끌었던 저력을 바탕으로 경북이 더 크게 도약하고 성공적인 지방시대를 열도록 정부가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현재 포항 수소연료전지 클러스터와 울진 원자력 수소 국가산업단지 조성을 추진 중인데, 수소배관망 건설이 필수”라며 “지역 활성화 투자펀드를 마중물로 수월하게 자금을 조달하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경주에는 3천억 원 규모의 SMR(소형모듈원자로) 국가산업단지 조성을 지원하고 신한울 3, 4호기를 차질없이 건설해 원전산업 생태계 복원과 신산업화에 경북이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겠다”고 덧붙였다.
또 “지난해 7월 반도체 특화단지로 지정된 구미산단을 반도체 소재부품의 생산 거점으로 육성하겠다”며 “1차로 2026년까지 시스템반도체 설계 검증을 위한 R&D실증센터를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이외에도 윤 대통령은 경산에 스타트업 파크, 포항에 첨단제조 인큐베이팅센터 등을 구축하고, 300억 원 규모의 지역혁신 벤처펀드를 만들어 경북을 ‘스타트업 코리아’의 주역으로 키워나가는 방안 등을 제시했다.

아울러 윤 대통령은 경북의 낙후된 교통인프라를 대폭 확충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윤 대통령은 “3조 4천억 원 규모의 영일만 횡단고속도로 건설을 빠르게 추진하겠다”면서 “성주-대구 간 고속도로 건설도 더욱 속도를 내서 경북과 전국을 2시간 생활권으로 연결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만성 정체 구간인 국도 7호선 경주-울산 구간을 4차로에서 6차로까지 확장하는 계획도 확실히 챙기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경북이 천혜의 자연환경을 갖고 있지만, 관광 인프라가 부족해 국민들이 제대로 누리지 못한다”며 “호미곶에 1300억 원 규모의 국가 해양생태공원을 조성하고 포항, 영덕, 울진 등 동해안 지역에 호텔과 리조트를 건설하는 동해안 휴양벨트 조성 사업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민생토론회는 지난 3월 충북 민생토론회 이후 3개월 만에 다시 지방에서 개최됐다.
이번 토론회에는 지역 주민을 비롯해 경북 지역의 원전, 수소 등 에너지 신산업 관련 기업인 및 스타트업 기업인, 학부모, 경북 지방시대위원회 위원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