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분석] ‘몽니 행정’에 멈춘 포항의 미래…POEX 2단계, 교육청이 막았다

  • 등록 2025.07.28 13:43:43
  • 조회수 202
크게보기

포항시가 야심차게 추진하는 ‘포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POEX)’ 2단계 사업이 포항교육지원청의 비협조로 좌초 위기에 처했다.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주목받는 마이스(MICE) 중심 도시 전략이 교육청의 ‘이전 불가’ 한마디에 발목 잡혔다는 비판이 거세다.

 

■ 수년 준비한 전략사업…교육청 “학교 이전 안 돼”

POEX 2단계 사업은 북구 장성동 옛 미군 캠프리비 부지에 조성 중인 1단계 전시컨벤션센터(지하 1층~지상 5층, 연면적 약 6.3만㎡, 총사업비 2,166억원)와 연계해, 인접한 동부초등학교 부지에 호텔·숙박시설 등 부대시설을 확장하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포항은 영일대 해변과 장미공원 등 해양 관광자원과 연계된 전국 5대 마이스 도시로의 도약을 꿈꿨다.

 

그러나 이 계획은 교육청이라는 벽에 부딪혔다. 포항교육청은 시가 제안한 동부초 이전 요청을 단칼에 거절했다.

 

명분은 “최근 70억원 규모의 리모델링 완료”와 “향후 학생 수 증가 가능성”, “제시된 대체 부지의 통학 불편” 등이다.

 

 

■ “협의했다더니 돌변”…포항시 “말 바꾸기, 상식 밖”

포항시는 “2023년부터 실무 협의를 통해 부지 검토와 조사용역까지 마친 사안”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시 관계자는 “구두 합의 없이 조사용역을 진행했겠느냐”며, 교육청의 ‘원점 재검토’ 주장은 책임 회피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시가 제시한 대체 부지에 대해 “통학 거리 증가”, “입지 열악”이라는 이유로 일방적 기각 입장을 밝힌 점에 대해선 “협조의지가 처음부터 없었던 것 아니냐”는 의구심마저 제기된다.

 

■ 교육환경? 현실은 유흥업소·슬럼화…학부모 민원 끊이지 않아

포항시는 교육환경 개선 차원에서도 동부초 이전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동부초 인근은 유흥업소 밀집, 도심 노후화, 학부모 민원 잦은 지역으로 교육청 스스로도 장기적으로 고민이 필요한 학교로 분류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청은 “이전 타당성을 찾기 어렵다”며 공청회나 설명회조차 열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시는 이에 대해 “지역사회 요구를 거부하는 폐쇄적 태도”라며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 ‘한 발짝도 안 나간다’는 교육청…지역사회는 분노

지역 상공계와 정치권은 **“공공기관 간 협의 실패로 수천억 전략사업이 좌초되는 것은 국가적 손실”**이라며 교육청의 입장을 ‘이기주의적 행정’으로 규정했다.

 

한 지역 상공인은 “교육청이 ‘내 땅은 안 된다’는 고집만 반복하고 있다”며, “이런 태도가 도시 전체의 발전을 가로막고 있다”고 비판했다.

 

정치권 관계자도 “포항이 미래산업을 위해 힘겹게 준비한 마이스 전략이 교육청 한 부서의 부정적 의견에 좌우되는 상황 자체가 비정상”이라며, **“이제는 지역 공동체 전체의 이익과 균형 있는 판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시, 시민 의견 수렴으로 재협상 시도…“책임 행정 기대”

포항시는 공청회와 주민설명회를 통해 시민 공감대를 확보하고, 교육청을 다시 협의 테이블로 끌어낸다는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이 사안은 단지 도시계획이 아니라 시민의 미래를 위한 선택”이라며, “교육청이 더 이상 외면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호소했다.

 

■ 결론: 협치 없는 행정, 미래를 가로막는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기관 간의 이견이 아니다. 지방정부의 장기적 산업 전략과 교육행정의 폐쇄성이 충돌한 대표적 사례다. 포항은 철강을 넘어 새로운 성장축으로 마이스산업을 제시했지만, 그 첫걸음이 ‘교육청 벽’에 가로막혀 있다.

 

이제 필요한 건 명분 없는 고집이 아니라, 협력과 상생이라는 공공행정의 원칙이다. 포항의 미래는 누군가의 관할이 아니라, 모두의 과제다.

강대산 기자 ksybig2002@naver.com
Copyright @파이낸셜대구경북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