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대구경북 신영숙 기자 | 청도군은 지난 5월 23일 청도군청 대회의실에서 2025년 청도군 정책자문위원회 전체회의를 열고, 『비전2040 청도군 중장기 발전계획』 실행 전략 수립을 위한 토론을 진행했다.
이번 회의는 청도의 인구감소, 고령화, 산업 정체 등 구조적 문제에 대응하고, 지역의 지속가능한 미래 발전을 이끌 구체적인 실행 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개최됐다.
회의에는 정책자문위원을 비롯해 관계 공무원, 경북연구원 등 150여명의 정책·실무 전문가 등이 참석해 실질적인 정책 추진 방안을 모색했다.
『비전2040 청도군 중장기 발전계획』은 청도의 정체성과 미래 가능성을 바탕으로, 지역이 직면한 위기를 극복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 동력을 발굴하기 위한 종합 전략이다.
청도군은 2023년 10월 부터 이를 위해 9개 읍면 간담회, 청년·미래세대 워크숍, 군민참여 프로그램, 정책자문위원회 등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했으며, 이를 토대로 주거·도시·균형발전, 사회·보건·복지 등 8대 분야에 걸쳐 총 153개의 단기·중장기 세부사업을 도출했다.
회의에서는 도출된 153개 세부사업의 우선순위 설정, 정부 정책과의 연계, 예산 확보 전략 마련의 필요성이 집중 논의됐다.
특히 청도군의 대표 특산물인 감과 복숭아 산업에 디지털 농업 기술을 접목한 ‘노지 스마트팜’ 모델이 지역 특색을 살린 미래 전략으로 제안됐다.
이 모델은 기후변화와 인력 부족 등 농촌 문제를 해결하고, 청년 창업 및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전환을 이끄는 대안으로 주목받았다.
또한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 대응책으로, 고향사랑기부금을 활용한 24시간 돌봄체계 구축 계획도 공유됐다.
청도군이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3대 미래비전인 ① 평생학습 행복도시(모든 세대가 교육을 통해 성장하는 지역), ② 문화예술·관광의 허브도시(역사와 콘텐츠가 살아 숨 쉬는 관광 중심지), ③ 농업 대전환 선도도시(규모화·기계화를 통한 미래 농업으로의 전환)를 실현하기 위한 세부 실행전략의 구체화와 지속 가능한 성장·미래 경쟁력 강화에 대한 공감대도 폭넓게 형성됐다.
김하수 군수는 “‘비전2040’은 청도군의 미래를 구체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중요한 이정표로써 군민이 일상 속에서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실천 중심의 정책부터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라고 밝혔다.
또한, “기후변화와 인공지능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스마트농업, 교육·돌봄, 복지 등 미래 핵심 분야 중심의 전략적 대응이 절실하며, 청도군만의 혁신 모델을 구축하겠다”라는 강한 의지를 표명했다.
[뉴스출처 : 경상북도 청도군]